납염공예
명나라에 귀주 혜주에서 특새 지닌 납염을 만든다고 기록하였고 청나라의 사서에 기록된 “청룡포”는 납염포라고도 불리웠다,
그것으로 보아 예로부터 포의족의 납염은 너무 유명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통 포의족 처녀들은 열두살 , 혹은
열세살부터 납염 솜씨를 배운다.
납염 제작공정: 먼저 밀랍을 납액으로 녹여 납액을 조금 담근 삼각형 동제 납갈로 자제한 백포에서 아름담고 활기찬
도안을 그린다. 그러고 백포를 염독에 두고 남색, 연남색으로 물들인 후에 납액을 제거하기 위해 솥에서 포를 끓인다.
솥에서 끓여 물들인 포를 강물에서 거듭 씻은 후에 그늘진 곳에서 말려 버리고 납염 공예품으로 된다.
제조된 납염 옷감은 소박하고 두퉁한 도안, 활기차고 호방한 그림, 그리고 독특한 거북 무뉘들이 있어서 기계로 만든
것보다 더욱 예술효과가 갖추어진다.
묘족자수
묘족의
여자들은 생산을 빼고 일년내내 방직, 자수, 십자수, 그리고 납화등 활동에서 즐겁게 지낸다. 묘족 여자 자수의 솜씨를 통해
그들의 인생가치관과 이상을 알 수가 있다. 그녀들이 세살쯤부터 여든살까지 어머니한테서나 언니한테서 자수 솜씨를 계속하게 배운다.
자수의 바늘질 솜씨는 편수, 도수, 추수, 첩화, 삽침, 변수, 퇴화, 전수, 철수 등등으로 나누어진다. 자수 도안은
보통 ×, 井, 十, □, 回, V, ◇, 석류, 나비, 물고기, 새 등 전동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그런데다가 자수군들이
자기의 애호와 상상에 따라 마음대로 백보에서 많은 도안을 화려하게 즐겁게 그리는데 묘족자수의 내용과 형식에 창조성을
계속하게 만들어 준다. 묘족자수에서 가장 아름답고 이름난 것은 소녀의 성장과 추화절의 화배선 선면이다.
자수인생의 명풍과 축도로서 성정은 묘족 여자의 총애과 아낌을 받는다. 지난날에는 묘족 여자는 한 편생동안 성정을
2번 입었는데 첫번은 혼수로서 입고 시집에 갈때이고 마지막 번은 그녀를 모시고 이세상을 떠나 다른 천국에 갈 때이었다.
성장은 진홍색 비단 옷강을 사용하고 배선 선면은 적, 등황, 황 ,녹 ,청, 남, 자, 흑 ,백 등 색깔의 면포나
마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성장이나 배선선면이나 다 솜씨가 뛰어난 “ 스승 ” 의 가르침에 의해 일년 동안쯤을
자수해야 한다. 자수의 바느질은 복잡하고 꼼꼼하고 도안은 아름답고 괴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장에서 화선을 고른 묘족 여자의
모습들, 이야기하면서 바느질을 한 모습들도 자주 보입이다.
속담에서 “남자는 농삿일로 잘나고도 여자는 자수로 잘난다”라고 하였는데 자수는 묘족의 풍습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목각예술품
목각예술품은 주로 지방 연극의 가면인데 조형이 괴의하고도 신가롭고, 윤곽이 소박하고도 호방하여서 야랑고국의 소박과 흉악의 특색을 보여준다.
포의족가방
표의족가방은 검은 삼베에 하얀색 소아한 무늬를 수놓고, 가방 중앙의 수공 자수로 만든 경사 도안을 뚜렷하게 보이게 가방의 사변에 청색, 남색, 연홍색, 진홍색의 삼베들이 겹겹이 놓이고, 가방 밑에 천 조각으로 만들고 둥그런 장식물들이 걸리는 것이다. 포의족가방은 스타일이 일치하고, 도안이 정연하고, 강한 단계 느끼음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은식공예
묘족에서 사람마다 은장식품을 좋아하지만 그중에 젏은 여자들은 은장식품을 가장 좋아한다. 묘족 은식 공예는 아주 섬세하고
정교하다.
묘족의 은장식품은 보동 묘족의 남자 공장이 만든 것인데 주로 호방하게 만든 것과 세밀하게 만든 것으로 나누어진다.
호방하게 만든 것은 재부의 상징인데 주로 실심 목걸이, 실심 팔찌이고 세밀하게 만들지 않고 은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또 꼼꼼하게 은을 작게 만든 공심 목걸리, 공심 팔찌등 있기도 한다.
세밀하게 만든것은 주로 이름난 은제 허리띠, 은우, 은포, 은작, 은밧줄, 은쇠, 은령, 은화, 은패, 은제 귀걸이,
은제 이쑤기개, 은제 나비, 은제 어깨걸이, 그리고 제사할 때의 은관 등등 있다 . 이런 은장식품들은 여러 공정으로
만든 것인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이다. 예들면, 은밧줄을 만들려먼 먼저 은을 머리같이 가는 은줄을 짓고 그다음에
가는 은줄 수십여 오리로 측면마다에“人”형으로 보여준 육각형의 은밧줄을 엮는다. 그리고 명품인 은관을 만드는 것은 크지 않은
관에 은화, 은령, 은작, 은나비, 은종, 은제비 등 은장식물을 용접하는 것이다. 은관의 장식물들이 상황에따라 수십개 내지
수백개 있고 무게는 30내지 40 량으로 된다.
묘족의 은장식물들은 묘족 사람들의 지혜를 하나하나 보여준다.